'인용과 링크'에 해당되는 글 14건

  1. 2009.12.04 매너리즘
  2. 2009.07.23 제목을 입력해 주세요. 2
  3. 2009.06.22 북한과 삼성그룹 비교
  4. 2009.06.10 제목을 입력해 주세요.
  5. 2009.05.29 박민규 연재 소설을 통한 잡설 2
  6. 2009.05.22 크지쉬토프 키에슬롭스키 Krzysztof Kieślowski 2
  7. 2009.03.28 다자이 오사무 太宰治 1
  8. 2009.02.09 방송
  9. 2009.02.09 모방국가
  10. 2009.01.26 한국의 뭐뭐뭐 3
  11. 2009.01.26 번역 출간 2
  12. 2009.01.17 부시의 마지막 연설
  13. 2009.01.15 콘텐츠
  14. 2008.09.29 아쿠타카와 류노스케 芥川龍之介

매너리즘

인용과 링크 2009. 12. 4. 19:44

"...그러므로 세르반테스에게서 새로운 것은 기사적 생활태도를 반어적으로 다루었다는 점이 아니라 두 개의 세계 즉 이상적/낭만적 세계와 현실적/합리적 세계 중 그 어느 하나도 절대적인 것으로 보지 않았다는 점, 그리고 세계상에 나타난 화해할 수 없는 이원론 곧 이념은 현실세계에서 실현될 수 없고 현실은 이념으로 환원될 수 없다는 생각이었다..."

"...그(세르반테스)는 한편으로는 현실세계에서 동떨어진 이상주의와 현실세계에 적응하는 분별심 사이에서 망설이고 있다. 주인공 돈 키호테에 대한 그의 분열적 태도, 문학의 새로운 시기를 여는 그 태도는 바로 여기서 나오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문학에서는 악한 자와 선한 자, 구제자와 배신자 ,성자와 신성모독자가 구분되어 나타났으나 이제 한 사람의 주인공이 동시에 성자이자 바보가 되어 있는것이다. 유머에 대한 감각이 한 사물의 정반대되는 양면을 동시에 보는 능력을 의미한다면, 한 성격의 이중성에 대한 이러한 발견이야말로 문학에서의 유머의 발견을 의미한다..."

p 196, 개정판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제2권, 제2장: 매너리즘, 아르놀트 하우저 지음, 백낙청/반성완 옮김, 1999.


"...The novelty in Cervantes's work was, therefore, not the ironic treatment of the chivalrous attitude to life, but the relativizing of the two worlds of romantic idealism and realistic rationalism. What was new the indissoluble dualism of his world-view, the idea of the impossibility of realizing the idea in the world of reality and of reducing reality to the idea..."

"...He(Cervantes) wavers between the justification of unworldly idealism and of worldly-wise common sense. From that arises his own conflicting attitude to his here, which ushers in a new age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Before Cervantes there had been only good and bad characters, deliverers and traitors, saints and blasphemers, in literature; here the hero is saint and fool in one and the same person. If a sense of humour is the ability to see two opposite sides of a thing at the same time, then the discovery of this double-sidedness of a character signifies the discovery of humour in the world of literature-of the kind of humour that was unknown before the age of mannerism..."

p 146~147, [The Social History of Art] Volume II: Mannerism, Arnold Houser, translated by Stanley Godman, 1951.



대학교에 다니고 있을 무렵 '문화예술사'라는 수업을 통해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라는 책 네 권을 읽었다. (지금은 그 수업이 없어졌다) 몇 명씩 조를 짜서 한 꼭지씩을 맡아서 발표를 해야 했는데, 그 당시에 내가 관심을 가지고 맡았던 부분이 매너리즘이었다. 대학 수업을 자꾸 언급하는 것이 좀 그렇지만, '희곡의 이해'라는 수업에선 희비극 꼭지를 맡았었다. 그러고 보면 관심사랄까, 방향이랄까는 항상 비슷했던 것 같다. 내친김에 생각나는 거 하날 더 언급하자면 박찬욱-봉준호-홍상수 영화에서 공통점을 찾으라면 '희비극'의 특징을 가지고 있다는 것.

이 책의 매너리즘 부분은 한 세 번쯤 읽은 것 같고,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는 한 번을 읽었는데, 고전이라는 수식어를 달고 있는 소설 중에서 유일하게 제대로 읽었던 소설이 아닌가 싶다. 물론 내가 책 읽는 행태를 돌이켜 볼 때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책 네 권 전체를 우적우적 씹어 먹었다고 볼 순 없을 것이지만, 하우저의 책 네 권 전체를 아우르는 관점에 전적으로 동의하고 고개를 끄덕끄덕거리면서 읽어 나갔기 때문에, 내용은 다 까먹었어도 그의 관점은 내 안에 남아 있을 것이다.


얼마 전 중고책 장터서 1불을 주고 영문판 [돈키호테]를 샀다. 읽을 계획을 가지고 있어서라기 보다는 왠지 가지고 있어야 할 것 같아서였다. 일단 제목은 읽어 두었다. 그리고 내친 김에 아마존을 뒤져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중고책 네권을 샀다. 몇 문단 정도 읽어 보고 종이 냄새도 잠깐 맡아 보았다. 3불 99전인 각각의 배송비가 책 네 권 각각의 값보다 '훨씬 많이' 나왔던 것은 당연지사. 

그러다 결국 1965년에 출판된 [Mannerism: The Crisis of the Renaissance and the Origin of Modern Art 매너리즘: 르네상스의 위기와 현대 예술의 기원]까지 사버렸다. 제목 때문이다. 특히 '...the Origin of Modern Art 현대 예술의 기원' 이라는 부분. 사 놓고 안 입는 옷들이 생겨나게 마련이듯이 사 놓았으나 언제 읽게 될지는 미지수지만, 책이 자꾸 날 끌어 당기니 언젠가는 읽게 되지 않을까 싶다. 1892년에 태어나 1978년에 죽었고, 영화사에서 일한 경력도 가지고 있는 아르놀트 하우저는 매너리즘을 현대 예술의 기원으로 보는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하나 덧 붙이자면, 당시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를 다 읽고 난 뒤에 들었던 생각은 책의 제목이 [서양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이어야 한다는 것, 그리고 [동양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는 언제쯤 읽을 수 있을까라는 것. 아니, 동-서양을 구분하자기 보다는 서로 관련이 있을 듯한 한/중/일 삼국의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에 관한 이야기가 궁금했다는 것.


:

제목을 입력해 주세요.

인용과 링크 2009. 7. 23. 00:26

하나,

몇년 전 부터 한겨레문학상 수상작을 눈여겨 보는 버릇이 생겼다. 제14회 한겨레 문학상 수상작 [열외인종 잔혹사]를 알라딘 미리보기를 통해서 시작 부분만 조금 읽어 보았는데, 재미있고 맘에 들어 언젠간 전체를 읽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작가 주원규가 썰을 푸는 방식도 문체도 맘에 들고 무엇 보다 '강남역 7번 출구/신촌역/압구정'과 같이 서울의 특정 장소를 그 장소에서 풍겨오는 느낌과 함께 소설 속에서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이 가장 맘에 든다. 게다가 소설의 '대사건'이 펼쳐지는 무대가 생각만 해도 머리가 지끈지끈 거려지는 공간인 삼성역 코엑스몰.


두울,

몇년 전 부터 책표지의 저자 소개를 눈여겨 보는 버릇이 생겼다. 특히 내가 눈여겨 보는 저자 소개는 다음과 같은 종류의 것 들로써, 이른바 [여행에세이]에서 주로 발견 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자면, (대충 검색해서 나온 첫 번째 결과를 인용한다.)

19XX년 출생. '지구에 와서 건진 건 우연히 카메라를 손에 쥔 것이다' 라고 생각하고 날마다 하늘냄새를 킁킁거리며 살아가는 그녀. 다양한 여행지를 돌아다니며 여러 잡지에 ‘티양Teeyang’이라는 이름으로 사진과 글을 실어왔다. 현재 무경계 문화펄프 연구소 XXXXX의 사진부 팀장으로 활동 중에 있다. 

날마다 하늘냄새를 킁킁거리며 살려면 대체 어떻게 살아야 하는 건지 궁금하다. 듣기만 해도 참 힘들어 보인다. 가만 보면 저자 소개에도 어떤 '트렌드'가 있는 것 같은데, 대체 이런 씨네21 김혜리 기자 글 스러운, 마치 '낙타를 닮은 속눈썹이 차양을 드리운 상한 눈은 물기를 비쳤다가도 금세 파란 빛을 발하는(김혜리가 쓴 유시민에 대한 묘사)' 듯한 저자 소개들은 누가 쓰는 것일까? 저자가 직접? 출판사 마케팅 팀장님이? (혹은 그 팀장님의 지시하에 팀원 김이박 대리가?) 아니면 저자 소개 전문 작가가? 


:

북한과 삼성그룹 비교

인용과 링크 2009. 6. 22. 14:30

북한 North Korea




남한 South Korea, 의 삼성그룹




:

제목을 입력해 주세요.

인용과 링크 2009. 6. 10. 13:39

하나,

모든 문제를 이념이나 도덕성의 문제로 환원하여 판단하려는 사람들이야 말로 가장 답이 안 나오는 부류다. 그게 좌파건 우파건 어디건 별 상관이 없다. 문자주의, 근본주의 개신교 신앙에 사로 잡혀 '개독'이라고 욕을 먹는 사람들과 별 반 다르지 않다.


하나 그리고 반,

물론 '개독'이라고 욕을 먹는 이유엔 사람을 피곤하게 하는 '전도 방식'도 들어 있는데, 그 방식은 도를 아십니까, 나 예전 운동권, 의 그것과 별 반 다르지 않다. 또한 지금 이 순간에도 선후배가 모인 자리 혹은 직장 상사와 부하가 모여 있는 술자리에선 '설교'가 있을 것이고 '전도'가 이루어지고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설교'와 '전도'는 대단히 한국적인 문화 현상이라고 생각한다. 


두울,

체 게바라 티-셔츠을 입는 것과 롯데월드에 가서 '프렌치 레볼루션 French Revolution'이란 이름이 붙은 '청룡열차'를 타는 것과 스타벅스에 가서 Fuck the Capitalism! 이라는 글씨를 쓰는 것의 차이는 무엇일까. 궁금하다. 아, 그리고 체 게바라는 전투 과정에서 발생했던 탈영병을 가차 없이 처형 했다지.


세엣,

읽고 싶은 책. 2009년 4월 30일에 영어판이 나왔는데, 불과 두 달도 지나지 않은 6월 10일에 한국어판이 번역되어 나왔다. 놀랄만큼 빠르다. 그리고 진보신당 노회찬 대표의 추천사가 붙어 있는 듯 하다. 한데, 샌프란시스코 시립 도서관에서 검색을 해 보니 나오질 않는다. 캐나다 사람이 쓴 책이라고 홀대 하는 건가. 


네엣,

'콘텐츠', '웹 2.0' , '통섭 교육' 와 같은 '용어'들에 대해선 항상 의구심을 가져 보아야 한다. 그리고 비화 하나.


:

박민규 연재 소설을 통한 잡설

인용과 링크 2009. 5. 29. 17:54

박민규 연재 소설 [죽은 왕녀를 위한 파빈느]가 끝났다. 전체적으로 실망스럽다. 첫 연재 소식을 알게 되었을 때 부터 내내 그의 연재 소설을 링크로 달아 두었다. 백화점 직장 내 풍경에 대한 묘사와 '군만두'라는 여자의 캐릭터, 그의 '자본주의'에 대한 시선이 맘에 들어서 즐겨 읽었다. 주인공의 롤-모델이라고 볼 수 있는 '요한'이라는 캐릭터는 작가가 설정한 1985년 즈음이라는 시절을 놓고 보았을 때 너무 세련된 녀석이어서 조금 비현실적인 면이 들기도 했다. 작가가 묘사하는 '못생긴' 여자의 절절한 고백이 담긴 절실한 편지는 소설 중에서 가장 마음에 드는 부분이었다. 

이번 소설에서는 그가 잘 구사했던 신랄하고도 경쾌한 풍자가 별로 보이지 않는다. 한 때 은희경을 좋아해서 그가 쓴 소설을 모조리 다 읽었는데, [비밀과 거짓말]을 읽었을 때 마주한 것은 내가 은희경의 소설을 읽으면서 좋아했던 면도날 같은 문장들이 다 사라진 밋밋한, '문학'을 써보고자 하는 욕구가 여실히 들어난 문장들이었다. 그런 느낌이 그의 이번 소설 [죽은 왕녀를 위한 파빈느]에서 조금 느껴진다. 

애초에 작가는 '신파'를 쓰겠다고 말했고, '사랑' 이야기를 쓰겠다고 말했고, '헤피 엔딩' 이었는데, 끝에서 '못생긴' 여주인공이 찾은 해답은 '프랑크푸르트'라는 아련한 느낌의 독일 도시로의 이민이다. 마지막 장면은 더욱 아련한 느낌을 주는 스위스 도시 '라우터브룬넨'에서 마무리가 된다. 그리고 그는 이렇게 말한다.

"그런 면에서 제가 한국에서 겪은 일들은 매우 야만적인 것이었어요. 야만이죠. 아름답지 않으면... 화장을 하지 않고선 외출하기가 두려운 사회란 건요... 총기를 소지하지 않으면 집밖을 나설 수 없는 사회란 거예요. 적어도 여자에겐 그래요, 지극히 야만적인 사회였어요. 물론 지금은 많이 달라졌겠지만, 아무튼 말이죠. 그래서 저... 잘 살고 있다는 생각이에요. 특별한 차별 없이 일을 하고, 보수를 받고... 비슷한 취미를 가진 사람들과 이런저런 클럽을 만들고, 토론을 하고... 전시회를 관람하고 공연을 즐기고... 이 삶이 좋은 거예요."

박민규의 [죽은 왕녀를 위한 파빈느], 10장 9화에서.

1989년 즈음에 피부색이 그 나라 국민의 대다수와 다른 한 여자가, 다 자라 성인이 된 이십 대 중반에 독일로 간호사로 이민을 가서 십 년 정도 살게 되면, 과연 '특별한 차별 없이 일을 하고, 보수를 받고... 비슷한 취미를 가진 사람들과 이런저런 클럽을 만들고, 토론을 하고... 전시회를 관람하고 공연을 즐기고...' 살 수 있는가ㅡ에 대한 의문점이 생긴다. (소설 속에서 여 주인공은 밀란 쿤데라의 소설을 독일어로 여러 사람 앞에서 낭독할 수 있는 정도로 묘사되고 있다.) 이건 너무 안일하지 않은가. 주욱 내내 여자 주인공의 상황과 심리를 그렇게 상세하게 묘사를 했던 것에 비하면 말이다. 게다가 저 여자 주인공이 간호사로 독일에 가서 처음 마주하게 되는 것은 독일이 아닌, 독일 속의 작은 한국, 이 아닐까. 그 독일 속의 작은 한국, 은 아마도 '야만적인 한국 사회'와 크게 다르지 않거나 더 나쁘지 않을까. 아마도 저 여자 주인공은 아마 그 독일 속의 작은 한국, 에 아무런 미련이 없었기에 독일, 에 더욱 더 잘 정착했을 지도 모를 일이지만.



정재은이 각본을 쓰고 연출을 했고 옥지영(지영), 이요원(혜주), 배두나(태희), 등이 나오는 [고양이를 부탁 해]라는 영화가 있다. 인천의 여상을 졸업한 아이들의 삶을 공간적 배경을 잘 살리면서 제대로 묘사한 이 작품은 서울에서 나름대로 '커리어 우먼'으로 성공하고자 애쓰는 혜주를 뒤로 하고 지영과 태희가 김포 공항에서 외국으로 떠나는 것으로 끝맺음을 하는데, 비행기가 이륙하는 그 순간 화면에는 커다랗고 두툼한 고딕체로 'GOOD BYE' 라는 흰색 자막이 화면을 메운다. '지긋지긋한 한국이여 안녕'을 말하는 것 같은 그 자막은 오랫동안 기억에 남았는데, 그 엔딩 장면을 보고 있을 당시 내가 '외국'에 이미 나와 있어서인지 기분이 묘했고, 동시에 그래서 그 들은 이제 어떻게 될까, 저 두 여자는 이제 어떤 삶을 살아갈까, 라는 생각이 머릴 맴돌았다. 사실 '그 이후'의 삶이 더욱 궁금했다.[각주:1]

문득 '기러기 아빠[각주:2]'들의 실상과 그들의 애환은 제법 보도가 되고 알려진데 비해서, 그 기러기 아빠 자녀들의 현실은 제대로 보도된 적이 없다는 생각이 든다. 아마도 그렇게 '힘들게' 살아가는 기러기 아빠들은 그들의 자식들이 대단히 행복하게 지낼 것이라는 굳은 '믿음'을 가지고 있을 것 같다. '현실'은 어떨까? 

(하여간 쓰다 보면, 결국은 샛길이다, 샛길인데, 그 샛길들을 모아 보면 또 비스무리한 면이 있다.)


  1. 그래서 삼 부작이 유행이라길래 한 번 삼 부작을 나름대로 구상해 보았다. 첫 번째 이야기는 주인공들이 '지긋지긋한 한국'을 떠나는 이야기고, 두 번째 이야기는 주인공들이 그 '외국'에서 이리저리 방황하는 이야기다. 그리고 마지막 이야기는 그 주인공들이 결국 '한국'에 돌아와서 부웅 뜬 채로 살아가는 이야기다. 어째 써 놓고 보니 재미없어 보인다.
    [본문으로]
  2. 연예인중에 기러기 아빠가 상당수인 걸로 알고 있다. 아마 통계를 내보면 '일반인'보다 그 비율이 훨씬 높을 것이다. 물론 그들은 높은 수익을 올리고 있기 때문에 그들의 자녀들을 외국에 보낼 수 있는 것이겠지만, 그 동기는 단순히 한국의 공교육 과정이 싫어서 만은 아닐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다니엘 헤니가 등장하는이 영상 에서 1분 이후부터 1분 가량 펼쳐지는 어떤 풍경이 그 동기가 될 수 있지 않을까? [본문으로]
:

크지쉬토프 키에슬롭스키 Krzysztof Kieślowski

인용과 링크 2009. 5. 22. 21:03
영화 감독의 자서전을 두 개 가지고 있다. 그 중 하나인 스페인 사람 루이스 부뉴엘의 자서전 [나의 마지막 한숨]의 몇 부분을 얼마 전 발췌 번역하여 인용했다. 그리고 문득 폴란드 사람 크지쉬토프 키에슬롭스키의 자서전 [Kieslowski On Kieslowski]의 서문 Epigraph 부분이 기억나 한 번 그 부분만 번역해서 올려 볼까 했는데, 책 전체를 번역할 계획을 하고 차근차근 올리고 있는 분이 계시더라. 조금 놀랬다.

크지쉬토프 키에슬롭스키[각주:1]는 폴란드 사람으로 1941년에 태어나 1968년에 우츠 영화학교[각주:2]를 졸업했다. 다큐멘터리를 만드는 것으로 경력을 쌓았고, 공장 노동자들의 생활, 사무 노동자들의 생활, 자신이 자란 폴란드 우츠시를 기록하는 등 다큐멘터리를 만들다가 극 영화로 옮겨간 사람이다. (영화 제작 시 당시 사회주의 국가였던 폴란드 정부의 지원을 받았다.) 그 이후 구약성서에서 모세가 신에게 받았다는 십계명의 각 계명들을 주제로 하여 1988년에 TV시리즈 [십계][각주:3]를 만들었고, 그 중 [살인하지 말라], 는 [살인에 관한 짧은 필름][각주:4]으로, [간음하지 말라], 는 [사랑에 관한 짧은 필름][각주:5]으로 확장 되어 극장 개봉도 이루어졌다. 이 작품들을 통해서 '서방 세계'에서 유명해졌는데, 사회주의 국가인 폴란드에서는 그가 점점 추상화 된 주제를 다루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다. 

이후 프랑스[각주:6]와 폴란드를 오가며 1991년 [베로니카의 이중생활][각주:7]을 만들고, 결국 프랑스 쪽의 투자를 받아 프랑스 국기의 개념, 자유-평등-박애, 를 주제로 삼색 시리즈, 1993년 [블루][각주:8], 1994년 [화이트][각주:9], 1994년 [레드][각주:10]를 만들고 나더니, 이번엔 단테의 [신곡]을 각색하여 [천국], [연옥], [지옥]을 만들려다 1996년에 만 54세로 비교적 일찍 죽었다. 그가 다루려고 했던 주제들을 보자면 자서전을 통해서 드러나는 사려깊고 소박하면서도 다소 우울하고, 시니컬한 유머를 구사하는 그의 태도와는 별개로 대단히 야심만만했던 사람이 아닐 수 없다.

그나저나 크지쉬토프 키에슬롭스키. 참으로 발음하기도 기억하기도 쉽지 않은 이름이다. 그가 유명해지는 것에 조금 더 관심이 많았다면, 먼저 이름부터 바꾸었을지도 모른다. 이를테면, 알렌 스튜어트 코닉스버그가 자신의 이름을 우디 앨런 Woody Allen 으로 바꾸지 않았더라면, 그는 지금보다 훨씬 덜 유명했을 것이다.

지금 각주를 남발하여 숫자들과 [본문으로]가 어지럽게 널려 있는데, 아무튼, [Kieslowski On Kieslowski]는 생생하고 재미있고 솔직하여 추천할 만한 읽을거리다. 좀 설레발을 쳐 놓았는데, 그에게 별 흥미가 생기지 않더라도 '서문 Epigraph' 부분은 그 자체가 하나의 에세이로, 읽어 볼 만 하다.  키에슬롭스키 자서전 읽기



  1. 이 사람이 만들었던 영화 중 DVD로 출시 된 작품을 모두 가지고 있다. 섭렵하겠다는 강박이 식어서 아직 다 보진 못했다.
    [본문으로]
  2. 송일곤, 문승욱 감독 등이 이 학교 출신이다.
    [본문으로]
  3. 몇 개는 재미있고, 대단하고, 의미심장한데, 역시 전체를 다 보는 것은 섭렵에 대한 강박이 좀 있어야 한다.
    [본문으로]
  4. 자세히 보다보면 카메라 필터는 이렇게 사용하는 구나, 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영화로, 영상이 예사롭지 않다. 물론, 주제 또한 예사롭지 않다.
    [본문으로]
  5. 훔쳐 본 여자를 사랑하게 되는 어느 청년의 이야기 가지고 참 따뜻한 영화를 만들어 내었다.
    [본문으로]
  6. 이 사람 뿐 만이 아니라 몇 가지 사례를 더 보면, 폴란드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프랑스 문화에 대한 짝사랑이 예사롭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문으로]
  7. 배우, 구도, 카메라의 움직임, 조명, 색감, 음악, 의상, 소품. 뭐 하나 빠질 것 없이 참 아름다우나 스토리는 정말 남 부럽지 않게 지루하다.
    [본문으로]
  8. 한 번 볼 때 보다 두 번째 볼 때 더욱 깊게 다가오는 영화고, 되풀이하여 보면 볼 수록 감탄을 금치 못하게 되는 영화다.
    [본문으로]
  9. 줄리 델피가 나오는 블랙-코메디 영화다. 꽤 웃긴다.
    [본문으로]
  10. 고백하자면, 지금껏 영화를 보고 난 뒤 가장 장시간 눈물을 흘렸던 영화다. 이 영화를 보고 나서 이 사람의 영화들을 전부 모아야 겠다는 생각을 하기 시작했는데, 지금 생각해 보니 좀 낚인 것 같다.
    [본문으로]
:

다자이 오사무 太宰治

인용과 링크 2009. 3. 28. 16:04

"창작에서 가장 힘써야 하는 것은 정확을 기하는 일이다. 그 뿐 이다. 풍차가 악마로 보이거든 주저말고 악마로 묘사해야 한다. 풍차가 풍차 이외의 것으로 보이지 않을 때에는 그대로 풍차를 묘사하는 것이 좋다. 실은 풍차가 풍차로 보이지만, 악마처럼 묘사하지 않으면 예술적이 아니라고 생각하고, 뻔한 궁리를 이리저리 하여 낭만적임을 자처하는 멍청한 작가도 있다. 그런 자는 평생 가도 무엇 하나 포착하지 못한다."

[나의 소소한 일상] 中.


생활

만족스런 일을 끝내고
한 잔의 차를 마신다
차 거품에
아름다운 내 얼굴이
수도 없이 
비춰져 있다.


어떻게든 되겠지.

[잎]  中.


:

방송

인용과 링크 2009. 2. 9. 22:26
- KBS.

'국민의 알 권리'가 뭔지는 잘 모르겠다. 다만 재야의 종소리 현장에 있었던 사운드와 화면 담당하는 사람들이 무슨 생각을 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있는 그대로의 소리와 있는 그대로의 화면을 채집하여 송출한다는 생방송의 가장 기본적인 원칙이 훼손되었다. 이건 좌파냐 우파냐의 문제가 아니다. 

미수다. 역사에 남을 만한 프로그램이다. 


- MBC.

어떤 앵커의 마지막 멘트, '열공'. 뉴스 자막에 'ㅋㅋㅋ' 이 등장할 날도 멀지 않은 것 같다. 과연 인터넷 강국 답다.

2008년 MBC 400회 특집 100분 토론, 얼마나 '쇼'였냐면 보다가 순간 나경원 의원의 손짓이 섹시하다고 느껴졌다. 내가 미쳤구나 싶었다. 한국에서, 모든 대화는 결국 노가리로 통한다. 노가리를 깔 수 밖에 없는 만남의 장이 너무 많다. 달리 예능 프로그램이 잘 되는 것이 아니다.

오랜 만에 잠깐 시청한 무릎팍 도사, 참 무서운 프로그램이다. 이젠 정말 마지막이다.

장기하, MBC 노조 파업에서 노래를 불렀다고 한다. 참 똑똑하다.

MBC가 소위 '좌파' 방송사인지, '우파' 방송사인지는 잘 모르겠다. 뉴스를 만들 때는 일단은 그냥 가장 기초적인 원칙을 지키는 것이 우선이 아닌가 싶다. 그런데 그게 가장 어렵다. 


- 생각들 (문단 간의 연결 고리는 별로 없다)

대체 언론법 개정이 어떻게 이루어진다는 것인지 정확한 내용을 모르겠다. 언론들이 언론법의 정확한 내용에 대해 보도하지 않는 건 아닌지라는 생각이 든다. 그냥 내가 못 찾았겠지 싶다. 그런데 문득 소풍 나가서 자기를 세지 않아 한 명이 없어진 줄 아는 초등학교 1학년 반장이 생각난다. 

"MBC가 재벌/조중동 방송이 되면 '피디수첩' , '100분 토론'도 볼 수 없다." 에이, 설마 저렇게 주장했을려구. 난 여느 한국인들 처럼 한국어 문법 보다 되례 영어 문법이 익숙한 사람이기 때문에 저 문장을 '미래 가정법'이라고 가정 하겠다. 그런데 저 '미래 가정법' 문장의 앞 뒤가 어떻게 연결 되는 것인지 잘 이해가 가지 않는다. 재벌과 조중동을 매우 싫어하는데도 그러하다.

MBC 노조 파업은, 말하자면 현대 자동차 노조 파업하고 비슷한 거다. 비꼬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 사실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방송사에 프로그램을 납품하는 하청 업체들(독립 프로덕션들)은 파업할 시간도 여유도 없을 것이다. 물론 자기 권리를 위해서 싸우는 것은 멋지고 참으로 바람직한 일이다. 동시에 하청 업체들과의 계약을 합리적으로 작성하여 성실하게 이행하는 것도 멋지고 참으로 바람직한 일이다. (아, 그건 노조 잘못이 아니던가?) 아무튼 간에, 국민, 공공, 공익은,,, 잘 모르겠다.

하청 업체(독립 프로덕션들)에는 물론 노조는 없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케이블 업계에도 노조는 없을 것이다. 전문적인 케이블 방송이 나오지 않는 이유는, 한국에서 인터넷 검색을 네이버가 거의 장악하고 있는 이유하고 일맥상통하다. 또한 방송 노동자들이 한 일주일에 육십 시간 정도만 일해도 (하청 업체 포함) 방송의 질이 좋아지지 않을까라는 순진한 기대를 잠시 해 본다. 방송의 질이 좋아진다는 것과 방송 노동자들이 육십 시간 일하는 것, 어느 것이 더 순진한 기대인지 잘 모르겠다. 

공중파 방송의 막장 분위기가 내가 유튜브와 다음에서 위의 것들을 광고 시청 하지 않고 공짜로 볼 수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왠지 기업의 광고 담당자들은 공중파 보단 차라리 네이버에 광고를 더 많이 줄 것 같다. 미국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는 바다 US라는 불법 사이트도 계시다. '장물'들은 그만 훔쳐 봐야겠다.

미국놈들 중에 똑똑한 놈들은 참 똑똑하다. 방송사가 제작한 방송들을 방송사 홈페이지에 올리면서 대부분 '기술적으로' 광고를 시청할 수 밖에 없게 해 놓았다. 그리고 그 사이트 들은 북미 지역 이외에선 열리지 않는다. 당연하지, 북미 지역 이외의 시청자가 그 광고를 보았자 소용이 없으니까. 

어차피 방송을 거의 안 보는 편인데, 말이 너무 많았다. 

:

모방국가

인용과 링크 2009. 2. 9. 16:44

..."말레이시아의 수도 쿠알라룸푸르에서 들렀던 대형서점은 영어원서들로 빼곡했지만 정작 말레이시아와 관련한 인문학이나 사회학 서적이 없었다.저는 이 부분에서 무척 공감을 하였습니다. 우리의 미래가 정체성이 없이 식민시대를 벗어나지 못할 것 같다는 우울함이 생기는 군요.

제가 다루는 분야인 법학에서도 이런 근본문제에서 벗어나질 못해서 법치주의에 대한 인식이나 근대화 (현대화도 아닌)에 많은 문제점을 해결 못하고 있으며 법을 다루는 주체들 조차도 적용기준에 대해서 외국의 기준을 의지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선진국이라면 모두 자신의 정체성에 따라 걸맞게 발전한 자신들만의 법적체계와 기준을 가지고 있지만 그 외의 모방국가에서는 자신들의 가진 법률시스템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지도 못하고 외국의 유사한 이론을 흉내낼 뿐입니다.

가장 흉내를 잘내는 모방국가는 역시 일본이구요. 하지만 그기까지만 갈 수 있을 뿐 더 이상은 안되는 것이 일본의 한계입니다. 우리는 그런 일본을 흉내내기도 바쁜 법률모방국가이죠. 법률모방국가의 특징은 참여자를 모두 합리적으로 설득할 수 있는 문서화된 '논증'이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마치 법률가들의 법적 결정을 읽어보면 '이는 신의성실에 반하므로...' 또는 '이는 적정 형량범위를 벗어난 것으로 볼 수 있기에...' 등의 일반원리를 구체화시켜서 설득해야하는 부분에 대해서 그냥 일반원리를 최종적 논증으로 제시하고 끝내버리는 일이 흔하게 이루어지죠. 아무도 설득되지 않고 결과를 승복하지 않는 불만시민들만 늘어나게 되는 것 같습니다.

다만 한국의 법학은 영어원서나 독일어원서가 서점에 들어찬 것이 아니라 한국의 상황에 맞는 이론이나 체계가 없이 원서를 번역해서 짜집기한 정도에 그치는 경우라고 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다른 전공도 별 다를 바 없었지만 이제는 그것이 원서로 바뀌고 있다는 점이 다른 것 같군요...

자주 들르는 한 문화비평가의 블로그에 달린 댓글이다.


인문학이나 사회학이나 뒤에 달린 고고한 '배울 '에 주눅들지 않는다면 결국은 '이야기'인 것이다. (그래서 나는 '나쁜' 이야기들을 만들어 내는 사람들을 혐오한다. 노파심에서 덧붙이자면, 이야기의 좋고 나쁨은 '도덕'과는 무관하다.)그 이야기들은 자신을 이해하게 해주고, 자신을 둘러싼 사회를 이해하게 해준다. 그러한 이야기들이 없으면 사람은 정체성을 잃어 버린다. 그리고 자신을 둘러싼 사회에 대한 이야기보다 자신과 무관한 사회에서 '물 건너온' 이야기를 더 많이 아는 사람은 헷갈리게 된다. 정체성이 없는 사람은 대체로 이 사람과 같은 행동을 하게 된다. 

:

한국의 뭐뭐뭐

인용과 링크 2009. 1. 26. 10:02
..당시엔 단관 개봉이었어요. 영화관에 가보면 사람들이 내 영화를 보려고 길게 줄을 서 있어요. 그게 재밌어서 극장에 한번 가게 되면 밤늦게까지 있었죠.” 언론은 배창호를 ‘한국의 스필버그라고 불렀다. 최고의 찬사였다...

... 한국의 스티브 부세미라고 부르는 게 싫다고 다른 걸 직접 골라달라고 했더니(역시 영화감독이기도 한 부세미에게 아무런 인간적 감정은 없다), 잠시 고민하던 그는 꽤 진지하게 ‘한국의 로베르토 베니니라고 해달라고 했다. ...

...작년 독립영화 최고의 화제작으로 불리는 영화 '낮술'의 노영석(33) 감독에게 이 영화의 배급사는 '한국의 로버트 로드리게즈'라는 별명을 붙여줬다. 그의 데뷔작인 '낮술'이 로드리게즈 감독의 데뷔작 '엘 마리아치'처럼 B급 정서가 넘치는 액션물인 것은 아니다...


한국의 뭐뭐뭐, 라는 관용 어구가 있다.  정치적 지향점과 상관 없이 두루두루 쓰인다.

:

번역 출간

인용과 링크 2009. 1. 26. 09:40
...신기욱 미 스탠퍼드대 사회학과 교수의 저서 <한국 민족주의의 계보와 정치>(이진준 옮김·창비)가 번역, 출간됐다. 민족주의를 거시적으로 분석한 이 책은 2005년 [Ethnic Nationalism in Korea:Genealogy, Politics and Legacy]란 제목으로 스탠퍼드대 출판부에서 먼저 나왔다. 

출간에 즈음해 방한한 신 교수는 “한국사회의 구성원리인 민족주의를 ‘신채호의 민족주의’ ‘안창호의 민족주의’와 같은 지성사의 관점이 아니라 사회적 방법론을 동원해 구조적으로 이해해보고자 했다”고 밝혔다. 신 교수에 따르면 서구에서는 민족(nation)·종족(ethnicity)·인종(race)을 구분해 사용하는 데 비해 한국에서는 세 가지의 차이가 뚜렷하지 않다. 따라서 서구의 민족주의가 종족과 직결되지 않는 근대국가의 정치적 구성원리인 반면, 한국에서는 ‘한 핏줄이니까 한 국가를 이뤄야 한다’는 식의 종족 민족주의로 발전한다. 

“현재와 100년 전의 구도가 비슷해요. 현재 전지구화/민족주의/동아시아주의가 공존하는 것처럼 19세기 말, 20세기 초에도 문명개화론/민족주의/아시아주의가 있었지요. 이 땅에 민족주의가 처음 도입될 당시에는 인권·시민의식이 강조됐는데 일본의 식민통치를 거치며 동질성과 집단의식을 강조하는 종족 민족주의가 강화됐습니다.”                     

저 분은 한국 신문에 특별 기고도 하실 정도이니 한국어를 매우 잘 사용하시는 분이 틀림이 없다. 2008년에 국방부 선정 불온도서로 지정되었던 화제의 책 [나쁜 사마리아인들] 또한 영국 캠브리지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가르치고 있는 장하준 교수가 썼고, 2007년에 한국에서 '번역' 출간 되었다.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영어권 국가에서 살게 되면 영어로 학술 활동을 하는 것이 당연하다. (물론 그 역은 성립하지 않는다.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한국어권 국가에서 살게 되면 한국어로 학술 활동을 하는 것은 당연하지 않다.) 다만 한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영어로 쓴 글을 자기 스스로가 아닌 다른 번역자가 번역한다는 것이 나로써는 잘 이해가 가지 않는다. 아마 강의와 연구활동으로 다들 바쁘셔서 그런 것 같기도 하다.
 
그리고 굳이 따지자면 미국에서 나는 인종적으로 'Asian' 에 속한다. 굳이 위의 분류에 기대자면 내 인종(Race)은 민족(Nation)적, 종족(Ethnicity)적 함의를 모두 내포하고 있는 데다가, 문화적 함의도 덧 씌워져 있다. 그래서 나는 내 경우에 비추어 볼 때 '서구'라는 나라가 어디에 있는 나라인지 잘 모르겠다. 언젠가 한 번 쯤은 '합리적인' 그 나라에 꼭 한 번 가보고 싶다. 

:

부시의 마지막 연설

인용과 링크 2009. 1. 17. 09:58

...그는 연설 내내 자신의 업적을 열거했다. 그는 “9·11 이후 7년 넘게 미국 본토에 대한 테러가 없었다 (America has gone more than seven years without another terrorist attack on our soil)는 점을 여러 차례 언급하고... ...


조시 더블유 부시의 저 말을 들으니,
"괜찮아, 먹고 안 죽으면 돼." 음식에 대한 이런 말과 
"어쨌든 부작용은 안 나잖아. 그럼 된 거지 뭘 그래?" 약에 대한 이런 말이 생각난다.

:

콘텐츠

인용과 링크 2009. 1. 15. 13:23


연합뉴스 1월 31일자 기사다.

자학적/자극적 제목의 기사이긴 하나, 한국은 '제1세계'와 '제3세계' 사이 그 어디엔가에서 헤매고 있는 나라이고, 맨날 들입다 비교하는 나라들이 죄다 일본,영국,미국, 프랑스와 같이 '제1세계' 들 이기는 하나, 어쨌든 내용 자체는 흥미를 끈다. 담하는데, 방송 영화계 사람들 또한 불법 다운로드를 지금 이 순간에도 멈추지 않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또 하나, 불법 다운로드 만큼이나, 문화 소비를 하고 싶어하는 분들의 '야근/잔업' 문제도 심각하다.

근데 왜 저 보고서는 내용과는 아무 관련이 없어 보이는, '한국은행'에서 발표했을까? '한국은행'에서는 '한국은행'의 업무와는 관련 없지만 왠지 재미있어 보이는 '문화 콘텐츠' 와 같은 내용을 연구하더라도 어쨌든 위에서 돈은 나오는 것은 아닐까? 그나저나, 그 놈의 '콘텐츠' , '콘텐츠'. 지금도 어떤 회사의 어느 과장은 어느 대리가 작성한 보고서를 들고 그 대리를 불러다 앉혀 놓고 "야, 콘텐츠가 없잖아, 콘텐츠가." 라면서 타박을 주고 있을 것이다. 

:

아쿠타카와 류노스케 芥川龍之介

인용과 링크 2008. 9. 29. 19:17

가끔씩은 돈, 명예, 권력을 탐하는 '세속적인 가치'에 반하여 소소하고 소박하고 일상에서 행복을 느끼는 삶을 추구하는 것을 소리 높여 외치는 것 또한 진부하다는 생각을 할 때가 있다. 재테크 서적과 명상 서적의 차이는 또 무엇일까라는 생각도 들곤 한다. 

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이 영화로 만들어 유명해진 단편 소설 '라쇼몽'. 그 '라쇼몽'을 쓴 작가 아쿠타카와 류노스케는 행복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출처가 어디인지는 지금 기억나지 않는다. 


생을 행복하게 보내기 위해서는 
일상의 사소한 일들을 사랑해야 한다.
구름의 반짝임, 
대나무의 서걱거리는 소리,
참새 떼의 지저귐,
지나가는 사람들의 표정,
모든 일상의 사소한 일 속에서 
최상의 달콤함을 느껴야 한다.

...
...
...


인생을 행복하게 보내기 위해서라고? 
그러나 사소한 일을 사랑하는 자는 
사소한 일로 인해 괴로워하게 마련이다.
우리도 미묘한 즐거움을 얻기 위해서는 
역시 미묘하게 괴로움을 겪지 않으면 안 된다.

인생을 행복하게 보내기 위해서는 
일상의 사소한 일에 괴로워해야 한다.
구름의 반짝임, 
대나무의 서걱거리는 소리, 
참새 떼의 지저귐, 
지나가는 사람들의 표정...
모든 일상의 사소한 일 속에서 
지옥같은 고통을 느껴야 한다.


덧. 이 글은 아쿠타카와 류노스케의 통찰이 빛난 글이라기 보다는 덤덤한 자기 고백처럼 들린다.


: